[ 안드로이드 ] Retrofit2를 이용하여 서버와 통신하기 안드로이드에서 Retrofit2으로 서버와 통신하는 경우가 많은데, 에러 처리를 제대로 해주지 않아 앱이 강제 종료 되는 경우가 많다. 모든 에러를 다 처리해줄 수도 없고, 서버에서 어떤 문제가 발 dongx2.tistory.com 이전 글에서 서버의 요청을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했다. 이번 글에선 실제 요청을 보내는 코드 예시를 작성하고자 한다. 일단,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받아올 Dto 클래스를 생성하기 위해서 서버의 Api 문서를 확인해야한다. 서버 Api 형식 확인 Dto 클래스를 생성하기 전 서버에서 어떤 형식으로 요청을 받는지, 응답은 어떻게 주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서버의 API Docs (Swagger 등)을 확인하..
안드로이드에서 Retrofit2으로 서버와 통신하는 경우가 많은데, 에러 처리를 제대로 해주지 않아 앱이 강제 종료 되는 경우가 많다. 모든 에러를 다 처리해줄 수도 없고, 서버에서 어떤 문제가 발생할 지도 모르기 때문에 Retrofit 요청을 안전하게 보내는 방법을 작성하고자 한다. Response를 위한 공통 클래스 작성 안전한 통신을 위해 몇 가지 필요한 작업이 있다. Parcelize 일단 기본적으로 서버에서 받은 응답을 직렬화하기 위해서 Parcelable를 사용한다. @Parcelize는 @Serialize와 비슷한데, 직렬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인터페이스인 Parcelable을 구현해주는 어노테이션이다. (Parcelize 설정 방법) 더보기 build.gradle (앱 수준) plugins ..